허운(虛雲) 화상 제 2장 선방법문(禪堂開示) - 공부의 입문방법1
이끄는 말 여러분들이 항상 와서 가르침을 청하니, 저는 매우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여러분은 날마다 힘들게 장작을 패고 농사를 짓고, 흙을 돋우고 벽돌을 나르며 하루 종일 바쁘게 지내지만, 도(道)를 깨치겠다는 생각을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그러한 도를 향한 지극한 마음은 정말로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입니다. 이 허운은 부끄럽지만 도(道)도 없고 덕(德)도 없어 소위 법문을 제대로 못합니다. 단지 고인(古人)들의 몇 마디 말씀을 가지고 여러분의 질문에 대답할 뿐입니다. 공부하여 도를 깨치는 방법은 매우 많지만 지금은 간략한 개요만 말씀드리겠습니다.
1. 도를 깨치는 선결 조건
1) 인과를 깊이 믿으라
말할 것도 없이 어떤 사람이든지 수행해서 도를 깨치려는 사람은 먼저 인과(因果)를 깊이 믿어야 합니다. 만약 인과를 믿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면 도를 못 깨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삼도(三塗)의 고통이 적지 않게 닥쳐올 것입니다.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전생의 일을 알고 싶은가? 금생에 받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하였으며, 또 말씀하시기를, "설사 백 천 겁이 지난다 해도 지은 업(業)은 없어지지 않으며, 인(因)과 연(緣)이 만날 때 과보(果報)를 받게 된다."하였습니다. 능엄경에 이르기를, "원인이 참되지 못하면 결과도 비뚤어진다(因地不眞 果招紆曲)."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좋은 원인을 심으면 좋은 결과를 맺고 악한 원인을 심으면 악한 결과를 맺게 됩니다. 외를 심으면 외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 것은 필연적인 도리입니다. 인과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으니, 제가 두 가지 고사를 들어 이를 증명하겠습니다. ① 유리왕이 석가족을 죽인 고사 석가모니 부처님이 태어나시기 전, 카필라 성에 고기잡이하는 마을이 있었습니다. 그 마을에는 큰 못이 있었는데, 어느 해에 가뭄이 들어 물이 말라 그 못의 고기들은 마을 사람들에게 잡아먹히게 되었습니다. 이때 마지막으로 가장 큰 고기 한 마리가 나왔는데 이 고기 역시 삶아 먹히게 되었습니다. 이때, 전부터 고기를 먹지 않던 한 소년이 이 고기의 머리를 세 번 때리면서 장난을 했습니다. 후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세상에 계실 때, 코살라 국의 파세나디 왕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었으며 석가족의 여인을 왕비로 얻어 한 아들을 낳았는데 이름을 유리라 했습니다. 유리 태자는 어릴 때 석가족이 사는 카필라 성에서 자라고 공부했습니다. 하루는 부처님께서 앉는 자리에 올라가 놀다가 사람들의 꾸중을 듣고 그 자라에서 끌어내려졌으므로 마음에 분한 생각이 맺혔습니다.
그리하여 그가 나중에 왕이 되었을 때 문득 대군을 이끌고 카필라 성을 공격하여 성 안의 주민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그 때 부처님은 3일간 두통이 있었습니다. 여러 큰 제자들은 부처님께서 법을 베풀어 주민들을 구해 주시기를 청했으나 부처님께서는 "결정된 업은 돌이킬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목건련 존자는 신통력으로 석가족 5백 인을 발우 안에 넣어 공중에 띄워 그들을 구하려 했지만, 발우를 내려놓으니 모두 피로 변해 버렸을 줄 어찌 알았겠습니까. 여러 제자들은 그 이유를 부처님께 여쭈었는데, 부처님께서는 과거세에 마을 사람들이 고기 잡아먹은 그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즉, 그 때의 큰 물고기는 지금 유리왕의 전신이고, 그가 거느린 군대는 그 때의 많은 물고기들이며, 이번에 죽은 카필라 성 주민들은 그 때 고기를 잡아먹은 사람들이고, 부처님은 그 때의 소년으로 고기 머리를 세 번 때렸기 때문에 이번에 3일간 머리가 아픈 과보를 받았다 하셨습니다. 결정된 업은 피하기 어려워서 석가족 5백 인은 비록 목련 존자가 구출하려 했으나 생명을 잃고 말았으며, 그 후 유리왕은 산채로 지옥에 떨어졌습니다. 서로 원한을 갚기로 하면 끝날 날이 없으며, 인과는 진실로 있는 것이니, 가히 두려워해야 할 것입니다.
② 백장 스님이 여우를 제도한 고사 백장 스님이 하루는 법좌(法座)에 올라 법을 설했습니다. 법좌에서 내려온 후 보니 사람들이 다 돌아갔는데 한 노인이 돌아가지 않고 있었습니다. 백장 스님이 묻기를 "그대는 무엇을 하는가?" 하니 답하기를, "저는 사람이 아니고 여우의 정령(野狐精)인데, 본시 이곳의 당두(堂頭)였습니다. 어느 날 어떤 스님이 저에게 "큰 수행인도 인과(因果)에 떨어집니까?"하고 묻기에 저는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不落因果)"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리고 이 대답 한 번 잘못하는 바람에 타락하여 5백 년 동안 여우의 정령이 되어 벗어날 길이 없었습니다. 부디 스님께서 자비심으로 가르쳐 주십시오." 했습니다. 백장 스님이 "그대가 나에게 물어 보라."하니 노인이 묻기를 "스님께 여쭙니다. 큰 수행인도 인과에 떨어집니까?" 백장 스님이 대답하기를 "인과에 어둡지 않다(不昧因果)"했습니다. 노인은 이 한 마디에 크게 깨달아 곧 절하고 말하기를, "이제 스님의 말씀을 들음으로써 제가 여우의 몸을 벗게 되었습니다. 제 몸이 뒷산 바위 아래 있으니, 바라건대 스님께서 죽은 중의 예법으로 장사 지내 주십시오." 하였습니다. 다음 날 백장 스님은 뒷산 바위 아래를 막대기로 파서 한 마리의 죽은 여우를 발견하자 죽은 승려의 예법로 화장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이 두 고사를 들었으니 인과가 가히 두려운 것이며, 비록 부처가 된다 하더라도 두통의 과보를 면할 수 없는 것임을 확실히 알았습니다. 과보의 상응은 털끝만큼도 어긋나지 않고, 결정된 업은 실제하므로 피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그때그때 삼가고 두려워하여 나쁜 원인을 만들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2) 계율을 엄히 지켜라 수행하여 도(道)를 이루는 데는 첫째가 계율(戒律)을 지키는 것입니다. 계율은 무상보리(無上菩提)의 근본입니다. 계(戒)로 인하여 비로소 정(定)이 생기고, 정(定)으로 인하여 비로소 혜(慧)가 나타납니다. 계를 지키지 않고 수행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능엄경에 네 가지 청정한 가르침(四種淸淨明誨)을 우리에게 주고 있으니 계를 지키지 않으면 삼매(三昧)를 닦는다 하더라도 속세를 벗어날 수 없으며, 비록 많은 지혜와 선정(禪定)이 앞에 나타나더라도 역시 사마(邪魔)와 외도(外道)에 떨어질 것이라 하였습니다. 계를 지키는 것(持戒)이 얼마나 중요한지 가히 알 수 있습니다. 계를 지키는 사람은 천룡(天龍)이 옹호하고, 사마와 외도들이 공경하며 두려워하지만, 계를 깨뜨린 사람은 귀신들이 큰 도적이라고 하면서 그의 발자취를 쓸어버립니다.
옛날 계빈국(서역에 있던 나라)에 절터가 있었는데, 독룡(毒龍)이 수시로 나타나서 그 근방에 해를 끼치므로 5백 명의 아라한이 함께 모여, 선정력(禪定力)으로 용을 쫓아내려고 했으나 쫓아내지 못했습니다. 후에 한 스님이 와서 선정에도 들지 않고 용을 향해서 한 마디 설하기를, "어진 이여, 여기서 멀리 떠나라." 하니, 이 독룡이 멀리 달아났습니다. 이때 여러 나한들이 이 스님에게 "무슨 신통으로 독룡을 쫓았습니까?" 하고 물으니, 그 스님은 "저는 선정의 힘을 쓰지 않고, 바로 계행(戒行)을 지키고, 가벼운 계율도 오히려 무거운 계율과 같이 지킵니다."하고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5백 아라한의 선정력이 계율을 엄히 지키는 한 사람의 스님에 미치지 못한 점을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육조 스님 말씀에 '마음이 편안하면 어찌 애써 계를 지킬 것이 있으며, 행동이 곧으면 어찌 굳이 참선을 할 필요가 있겠는가(心平何勞持戒 行直何用參禪)'하였다" 합니다. 그러나 제가 감히 묻거니와, 그대의 마음은 평안하고 곧습니까? 만약 달밤에 아름다운 여인이 알몸으로 그대를 껴안는다면 그대는 마음이 움직이지 않겠습니까?
또 어떤 사람이 이유 없이 그대를 욕하고 때린다면 그대는 성내는 마음(瞋恨心)을 일으키지 않겠습니까? 그대는 원수와 친한 이, 미움과 사랑, 나와 남, 옳고 그름을 능히 분별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확실히 그럴 수 있다면 그런 말을 해도 되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허튼 소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