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모음 ♣/•-------건강정보♤

운모 (雲母, Mica)

白道 박만주 2009. 2. 9. 10:41

 

 

 

 


 


운모 (雲母, Mica)


영어명: muscovite
화학식: X2Y4~6Z8O2(OH,F)4
경도: 2.5~4
비중: 2.75~3.2
색깔 : 황색 ·갈색 ·녹색

운모는 석영 ·장석과 함께 화강암 중에 있는 중요한 조암 광물로서 돌비늘이라고도 한다. 층상구조를 가지며, 보통은 육각 판상의 결정형을 이룬다. 또한 인상(鱗狀) ·섬유상 ·주상(柱狀)을 이루는데, 어느 형태나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어서 아주 엷게 벗겨진다. 광물 중에서 가장 쪼개짐이 완전하며, 쪼개진 조각은 탄력이 강하다.


화학성분은 매우 복잡하여, X2Y4~6Z8O2(OH,F)4의 화학식을 가진 층상 규산염광물이다. X=K,Na,Ca, 12배위(配位), Y=Fe,Mg,Al,Ti,Li, 6배위, Z=Si,Al, 4배위이다.


운모는 전기나 열의 전도성이 낮고 고전압에 견디는 힘도 있다. 운모의 구조는 규소 또는 알루미늄을 중심에 갖는 산소의 사면체가 연결하여 이루고 있는 층이 2장 있으며, 철이나 마그네슘을 중심에 갖는 팔면체층을 낀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복합층 사이에 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이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구조가 층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전한 쪼개짐이 잘 발달되어 있는 것이다. 현재 운모의 종류는 약 27종이 알려져 있는데 백운모·흑운모 및 금운모가 가장 많이 산출되고 조암광물로서 중요하다. 또 견운모(셀리사이트)나 일라이트와 같이 점토광물로서 중요한 것도 있다. 그 밖에 파라고나이트·진왈다이트·소다운모·바나딘운모·인운모·진주운모 등이 있다. 운모의 학명은 <반짝반짝 빛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micare에 유래한다.

운모(雲母)의 정의

옛날에는 구름을 지상의 수증기 만으로 보지않고 어떤 바위나 돌에서 보라빛 안개와 같은 구름이 발생한다고 보 아 어떤 돌은 운근(雲根)이라하고 어떤 돌은 운모(雲母)라고 했다. 그래서 운모는 신선들이 불노장생 과 호흡법의 촉매로 운모를 법제 수치하여 소량씩 복용하였다.


운모는 화성암 및 변성암의 조암광물로 일반적으로 육각판상의 결정으로 산출되며 아주 얇고 질긴 판상으로 분할되는 특성이 있다. 운모에는 그 종류가 많고 광물하적으로는 복잡한 화학성분인 규산염광물이다.

 

특히 운모의 특징은 벽개성과 투명성 그리고 탄성인 것이다.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운모는 다음 2종류가 있고 상거래시에는 광물명 보다 관용어가 상품명으로 사용된다. 경질운모는 그 고유한 색깔에 따라 루비 마이카, 그린 마이카라 하고 연질운모는 앰버 마이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경질 운모는 포유물이 적고 연질운모에 비하여 전기 절연성과 항장력 및 내산성이 좋다.

 

운모광은 채굴후, 박리장으로 운반되어 칼이나 가위로 절단하여 브록 마이카와 스프리팅 마이카로 선별한다. 브록 마이카는 원광석을 체질하고 남은 박편상에서 티가 있는 것은 벗겨버리고 두께 0.18mm이상의 벽개판으로하여 상품화한다. 품질이 나쁜 브록은 대부분 박리하여 0.015∼0.03mm로 벗겨 크기 1.7cm2이상의 운모 박편으로 한것이고 두께 0.025∼0.045mm인 것을 필름이라 한다. 운모는 포장형태에 따라 북 포옴과 루이즈로 분류한다.


운모의 용도
운모는 각종 물리성이 우수하여 그 용도가 다양하다. 즉 진공관, 전동기, 발전기, 정류자, 전열기, 배선피복, 축전기나 자동차, 항공기의 발화전등에는 운모는 없어서는 안될 광산물이다. 마이카나이트는 경질운모를 에폭시 수지나 실리코운동의 내열성인 합성수지의 접착제로 붙쳐서 가열 압축한 인공운모판이며 각종 용도에 사용한다.

 

전기절연용 운모제품은 한국공업규격으로 규정되어 있고 최근에는 운모제품은 1∼2mm2의 작은 운모 부스러기를 소성, 화학처리하여 종이 처럼 모은 집성운모를 붙쳐서 제품으로 하는 경향이 높아 간다. 운모는 전기 절연재 외에 고열부의 유리 대용으로 용광로, 석유 스토우브의 유리, 화부용 안경으로 사용하고 또 탄성체이므로 진동이 심한 항해용 콤파스유리로 사용한다.

 

그외 분 말운모는 진주광택이 있으므로 장식도료에 사용한다. 과거 분말운모는 폐품으로서 그리 사용하지 않았으나 미국 North Caroline주에서는 장석의 부유선과에서 생긴 분말 운모를 회수하여 사용하기 시작했고 최근 미국에서는 분말운모(160∼325메쉬)의 연간 소비량은 수 10만톤에 이르고 그 수요는 루우핑에 28%, 시멘트 혼합제에 18%, 페인트에 23%, 고무에 6%, 기타에 25% 등의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雲母 異名 - 雲母石 千層紙 돌비늘 雲華 雲珠 雲英 雲液 雲砂 雲膽石 金星石 貝石 石鱗
荊南誌에 의하면 華容方臺山에서 운모가 나며 채굴이 많이 되었다. 5∼6자(尺)나 되는 큰 것이 있었는데 마치 병풍 같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돌은 구름의 근원이라면서 운모라는 이름을 지었다. 돌과 흙 사이에서 나며 조각은 한층 씩 벗겨 낼 수 있고 맑고 반들반들하며 맑은 흰빛을 띄는 것이 제일 좋다. 靑, 赤, 黃, 紫, 백색인 것은 다 사용할 수 있지만 백색의 가볍고 투명한 것이 제일 좋고 검은 것은 피부궤양을 일으키므로 사용할 수 없다.

藥材 - 운모는 여러 가지 성인을 가지며 약으로 사용하는 큰 조각의 운모는 주로 산성 화성암, 페그마타이트, 및 변성암중에서 산출되는데 약용 백운모의 대부분은 페그마타이트 중에서 산출하는 巨晶이다. 河北, 山東, 山西, 내몽고, 및 遼寧등의 省에서 산출된다. 판매되고 있는 것은 濟南, 杭州, 北京, 德州, 長春등지의 백운모가 있는데 이것은 하얼빈, 梧州에서 팔고 있는 "백운모"와 다르다. 즉 이 "백운모"는 현생 생물의 복족류의 口蓋(일명 甲香)인데 갑향의 異名이 수운모이기 때문에 혼돈되고 있는 것 같으나 약으로 사용 할 때에는 혼용되지 않아야 한다.

性質과 形狀 - 불규칙적인 편상이고 박편은 한 층씩 벗겨진다. 백색 투명하고 기질이 질기며 쉽게 파쇄되지 않고 탄성이 있다. 냄새가 없고 맛이 담하다. 하제하면 색이 어두워지고 광택이 없어진다. 약용 운모의 주요구성광물은 백운모이고 2차 광물인 수운모(Hydromica)등과 공존한다.

운모는 여러 가지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형성조건에 따라 그 함량이 다르며 운모내 혼입물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한 시료에서도 위치에 따라 성분에 변화가 있다. 운모는 알카리에서 쉽게 용해하지만 공존하는 소량의 2차 광물은 운모보다 산에 쉽게 용해된다.

포제와 응용 - 고대 : 2일 간 굽는다. 붉게 구운 뒤에 가루로 만든다. 불로 달군다. 불로 붉게 구워 7번 수비하여 햇볕에 말리고, 다시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운모를 소금물에 삶아 가루로 만든다. 볶아서 무르게 한다.

현대 : 원약재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말린다. 깨끗한 약재를 채취하여 단지에 넣고 센 불로 紅透될 때까지 굽고 꺼내어 그늘에서 식힌 다음 사용 할 때 빻는다.

역대의 응용 : 맛은 달고 성질이 고르며 독이 없다. 身皮死肌와 中風寒熱을 치료한다. 사기를 제거하고 五臟을 안정하며 精子를 좋게하고 視力을 밝힌다. 下氣堅肌, 續絶補中하고 五로七傷과 虛損少氣를 다스리며 止痢한다. 足少陽膽과 足太陽膀胱經에 든다. 그러나 광물약은 성질이 사납기 때문에 정제해 먹어야 補益한다. 陰虛火炎한 사람은 절대 복용하지 않는다.

처방 예 : 風癲, 어린이의 赤白痢 및 水痢의 치료, 白帶, 難産, 金蒼의치료, 上消化道출혈의 치료 - 운모를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부드럽게 갈고 고압으로 소독한다. 2∼3g을 매일 3회 또는 6시간에 1회씩 복용한다. 12개 병례는 위산과다 증세가 명확할 경우 진통약과 수산화알미늄 가루를 더해 주었다. 60개 예의 치료결과에 의하면 효과가 좋았는데 유효율이 98.3%에 달했다. - 廖松栢 <中醫雜誌> (5) 76, 1980

考察 - 운모가 五로七傷, 安五臟, 益精子, 明目한다는 것으로 보면 운모는 보약류에 속해야 한다. 옛사람들이 운모를 반드시 붉게 굽고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 것은 사나운 광물약의 성질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生藥과 製品의 산제용해 시험결과는 製法이 비록 운모의 物相에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지만, 수운모에는 변화가 있다.

 

製운모의 주요성분인 Si, Al은 알카리성 용액에는 생약운모보다 더 많이 용해된다. 따라서 어떤 처방에서는 반드시 하제품을 사용한다. 보고에 의하면 옛 처방으로 생약을 그대로 사용해도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이 있다. 순수한 백운모는 製를 하면 갈기 쉬워진다. 부드럽게 갈면 흡착작용을 잘한다. 운모는 고대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약이었으나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그 원인은 품종이 일정하지 않아 치료효과가 불안하기 때문인 것 같다. 약용운모의 선택은 "明滑光白者爲上"에 의거하여 백운모를 골라야 한다. 경험적인 감별에 의하면 백운모는 점토광물과 공존하며 입도가 0.5cm인 시료는 표면과 내부가 받는 열이 균일하지 않다. 고대 포제법에 "밤 낮 2일간 굽는다."는 것은 이유가 있다. 짧은 시간 내에 製하려면 박편으로 쪼갠 다음 하제하는 것이 좋다.


출처 - "동의광물약"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년

                                                                                                                                                  

 

 

     극락정토로 가는 길 (白道)

       http://blog.daum.net/mjpark39/16404758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