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관법(十六觀法)]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한 수행법은 무엇인가?
『관무량수경』에서 설하는 십육관법은 부처님께서 친히 위제히 부인 앞에 나투시어 고통받은
위제히 부인을 위하여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한 마음가짐과 바른 수행법을 설하신 것이다.
즉
부처님께서는 서방극락 세계를 관하는 방법으로 13가지의 관법을
설하시고 다시 3관을 설하셨다.
①
일상관(日想觀) : 해가 지는 모습을 보고 정토의 존재와 아름다움,
자기 죄업을 관함.
②
수상관(水想觀) : 맑은 물을 보고 물을 변화시켜 유리와 같은
정토의 대지를 관함.
③
보지관(寶地觀) : 유리와 대지 위에 있는 황금의 길, 누각 등을
관함.
④
보수관(寶樹觀) : 정토에 있는 칠보의 나무와 그 나무로부터 나오는
광명을 관함.
⑤
보지관(寶池觀) : 여덟 가지 공덕수가 충만한 칠보의 연못을
관하고, 그 물이 흘러 개울이 되고, 연화의 꽃이 피고, 흐르는 물소리는 무상 무아의 법을 설하고 있음을 관함.
⑥
보루관(寶樓觀) : 정토의 칠보 누각에서 천인이 연주하는 음악이
모두 삼보를 염하도록 설하고 있음을 관함.
⑦
화좌관(華座觀) : 부처님이 앉아 계신 연화좌가 찬란하게 정토를
비추고 있음을 관함.
⑧
상상관(像想觀) : 하나의 큰 연화 위에 빛이 찬란한 아미타불의
앉아 계신 모습을 관함.
⑨
진신관(眞身觀) : 아미타불의 상호에서 광명이 비춰 중생을 섭수하고
계심을 관함.
⑩
관음관(觀音觀) : 관세음보살의 몸이 광명으로 빛나는 영락을 두루고
있음을 관함.
⑪
세지관(勢至觀) : 아미타불, 관음, 세지의 3존이 정토에 모여
중생을 위해 설법하시며 고통 받는 중생을 인도하시는 것을 관함.
⑫
보관(普觀) : 불보살이 허공에 가득한 정토에 왕생한 것을 관함.
⑬
잡상관(雜想觀) : 잡다한 불신을 관하는 것으로 정토의 보배 연못에
있는 불상이 시방세계에 몸을 변현시켜 여러 가지 몸으로 일체를 교화함을 관하는 것이고, 나머지 3관은 상품, 중품, 하품의 세 가지이다. 이와
같은 13관에 의해 무량겁 동안 더럽혀진 생사의 죄를 멸하고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