色界 : 18天 색계란 앞의 욕계가 중생의 모든 탐욕을 주로 하여 이룩된 세계이고, 무색계가 순 정신적인 세계임에 비하여 모든 탐욕은 여의었으나 아직 순 정신적인 것은 되지 못한 중간의 세계로 욕계의 상층에 있으며 욕계 보다 수승한 물질로 되어있다.
** 초선천(初禪天) : 初禪定을 닦은 이가 나는 하늘 1. 범중천(梵衆天) ; 초선천의 주인인 大凡王(大凡天王)이 영솔 하는 천인이 살고 있다고 한다.
2. 범보천(梵輔天) ; 대범왕의 신하들이 살고 있으며 대범왕이 어디를 갈 적엔 반드시 이 신하들이 앞서 가면서 왕의 이익을 생각한다고 한다.
3. 대범천(大梵天) ; 대범왕이 있는 곳으로 그 누각과 寶臺가 아름답다고 한다.
이선천(二禪天) : 제이선정을 닦는 이가 나는 하늘 1. 소광천(少光天) ; 二禪天 중에서 광명을 놓는 것이 제일 적 다고 한다.
2. 무량광천(無量光天) ; 이 하늘에서 나면 몸으로 광명을 놓는 것이 한량없다고 한다.
3. 극광정천(極光淨天) ; 광명이 앞의 것보다 더하여 自靑를 비춘다고 한다.
** 삼선천(三禪天) : 제삼선정을 닦는 이가 나는 하늘 1. 소정천(少淨天) ; 이 하늘의 五識은 즐겁고 청정하기에(樂受) 淨이라하며 三禪天 중에서는 가장 저열하다고 한다.
2. 무량정천(無量淨天) ; 樂受가 있으며 소정천에 비하면 훨씬 勝妙하여 한량이 없다.
3. 편정천(遍淨天) ; 이 하늘은 맑고 깨끗하며 즐거움이 가득 찼기에 遍淨이라고 한다. **
사선천(四禪天) : 제사선정을 닦는 이가 나는 하늘 1. 무운천(無雲天) ; 이 하늘부터는 구름위에 있어 구름이 없는 곳에 있으므로 무운이라고 한다.
2. 복생천(福生天) ; 이 하늘엔 수승한 福力으로 태어남으로 복생이라 한다.
3. 광과천(廣果天) ; 사선천 중에서 범부가 사는 하늘로는 가장 좋다고 한다.
4. 무상천(無想天) ; 위의 광과천안에 있는 하늘로 이 하늘에 태어나면 모든 생각이 없으므로 무상이라고 한다.
5. 무번천(無煩天) ; 욕계의 괴로움과 색계의 즐거움을 모두 여의어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첫번째 하늘이다.
6. 무열천(無熱天) ; 심경이 依處가 없고 淸凉自 하여 일체의 熱惱가 없다.
7. 선현천(善現天) ; 天衆의 善妙의 果報가 나타나므로 선현 이라고 한다.
8. 선견천(善見天) ; 장애가 없어 十方을 보는 것이 자재로운 하늘이라고 한다.
9. 색구경천(色究竟天) ; 색계중 가장 위에 있는 하늘이다. - 옮겨온글 - 카페 이름 : 소석의 풍경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js68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