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처님 인연 ♣/•극락정토로 가는 길♤

불교용어 [세간과 출세간]

白道 박만주 2012. 11. 16. 09:58

 

  불교용어 [세간과 출세간]

 

불교용어

器世間
기세간 the natural world ; the material world
[내] 2종 세간, 3종 세간 중 하나. 중생이 살고 있는 세상으로서, 산하(山河), 대지(大地), 초목(草木) 등을 포함한 세계 전체를 가리킴.

東方最勝燈王如來遣二菩薩送呪奉釋迦如來助護持世間經
동방최승등왕여래견이보살송주봉석가여래조호지세간경
[내] @동방최승등왕여래경(東方最勝燈王如來經)의 별칭.

東方最勝燈王如來助護持世間神呪經
동방최승등왕여래조호지세간신주경
[내] @동방최승등왕여래경의 별칭.

三世間
삼세간 three mundane worlds


1]모든 유위법(有爲法)을 셋으로 분류한 것.

1. 5음(陰) 세간 : 5중(重) 세간이라고도 함. 10계(界)의 5음이 각각 다른 것을 말함.

2. 중생(衆生) 세간 : 가명(假名) 세간이라고도 함. 중생의 세계가 지옥, 천상, 인간 등으로 각각 다른 것을 말함.

3. 국토(國土) 세간 : 기세간(器世間)이라고도 함. 중생이 살고 있는 10계(界)에 차별이 있는 것을 말함.


2]석가모니의 중생 교화를 셋으로 분류한 것. 1. 국토(國土) 세간 : 석가모니가 교화시킨 세계를 가리킴. 2. 중생(衆生) 세간 : 석가모니에게 교화된 중생들을 가리킴. 3. 지정각(智正覺) 세간 : 여래의 지혜를 성취하여 깨달은 것을 가리킴.


世間
세간 secular world
[내] 흘러가고 무너지는 것. 세(世)는 천류(遷流), 간(間)은 격별(隔別)을 뜻함. 2종의 세간으로 나누는데, 생물(生物)이 살고 있는 국토를 기세간(器世間)이라 하며, 6도(道)의 중생들이 살고 있는 곳을 중생(衆生) 세간이라 함.

世間法
세간법 worldly truths
[내] 세간의 법. 3계(界)의 중생은 행업(行業)의 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생겨나므로 무상(無常)한 것이라는 이치를 뜻함. 4제(諦) 중에서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를 가리킴.

世間自在王佛
세간자재왕불
뜻 없음

世間自在王如來
세간자재왕여래
뜻 없음

世間解
세간해 knower of the secular world
[내] 석가모니를 부르는 열 가지 호칭 중 하나. 세간의 일을 모두 알고 있는 이라는 뜻.

有情世間
유정세간 the world of sentient beings
[내] 2종 세간, 3종 세간 중 하나. 5온(蘊)의 화합으로 이루어진 몸을 지닌 서로 다른 존재들의 세계를 가리킴.

二世間
이세간 the two realms of conscious or sentient beings
[내] 유정(有情) 세간과 기(器) 세간, 2종을 가리킴. 세(世)란 과거, 현재, 미래 등 3세(世)를 거치면서 천류(遷流)하는 것을 말하며, 간(間)이란 세상 만물이 서로 차별과 간격이 있어서 동일하지 않은 것을 뜻함.

出世間
출세간 to go out of the world

1]유루(有漏)의 세간을 벗어나서 해탈한 것.
2]세간은 세속법(世俗法), 생사(生死)의 법을, 출세간은 불법(佛法), 열반(涅槃)의 법을 뜻함.
3]4제(諦) 중에서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는 세간을 뜻하며, 멸제(滅諦)와 도제(道諦)는 출세간을 뜻함.

出世間道
출세간도 the way of leaving the world
[내] 세간의 미혹(迷惑)을 떨쳐 버린 보리도(菩提道). 불법(佛法)의 세계를 뜻함. 번뇌를 끊고 열반에 이르기 위한 깨달음의 길.

出世間法
출세간법 the dharma of leaving the world
[내] 세간의 번뇌를 끊고 해탈을 성취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법으로서 4제(諦), 6바라밀(波羅蜜) 등을 가리킴.

出世間說部
출세간설부
뜻 없음

 

극락정토로 가는 길 (白道)

http://blog.daum.net/mjpark39/16404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