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여기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은 우리 마음이 바로 부처인 것을 조금도 군더더기 없이 여실히 하신 법문입니다.
연원(淵源)은 제 지의 석가(釋迦)라 하는 용수보살(龍樹菩薩)께서 금타대화상(金陀大和尙)의 삼매(三昧) 가운데 즉
선정(禪定) 가운데 - 깊은 선정에 들면 과거, 현재, 미래를 다 보는 것입니다. - 그런 가운데 용수(龍樹) 성자(聖者)로부터 이렇게
감응(感應)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라디오나 텔레비젼의 전파들을 생각해 보시면 짐작이 가십니다만 가사 십만년전에 누군가가 말을 했다 하더라도 정말로 정밀한
레이더오 컴퓨터가 있다고 한다면 그것을 우리가 다 포착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지금 물리학도 그렇게 말을 합니다.
따라서 도인들이 삼매에 들면 몇천년전의, 미래의 일도 충분히 아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러한 것을 저같은 사람은 아직 천리 만리라서
어림도 없지요만, 우리는 그런 가능성을 느껴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분명히 부처님은 모두를 다 알고 모두를 다 할 수 있다. 이렇게 믿어야 진실한 불교 신앙인(信仰人)입니다. 원래는 우리
인간성도 바로 그런 것입니다. 이것은 금타대화상 그 어른께서 삼매중 선정 가운데서 용수보살로부터 현대 지성적인 시대에 알맞은 가장 고도한
수행법이라고해서 전수 받으신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입니다.
안 믿는 사람들은 할 수가 없겠지요. 저도 직접 보지 않았으니가 확실히는 모르지요. 다만 확신을 할 뿐입니다.
부처님의 수행 체계를 가장 잘 세우신 분이, 부처님 교리를 종합적으로 가장 잘 세우신 분이 중국의 천태지의(天台智?) 스님입니다.
천태지의 스님은 마하지관(摩訶止觀)이라는 20권의 책을 냈습니다. 마하(摩訶)란 말은 인도말로 위대하다는 뜻입니다. 지관(止觀)은 그칠
지(止)자, 볼 관(觀)자. 마음 공부는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불교와 참선은 아주 번쇠하고 난해합니다.
그러나 참선공부는 인류 무노하사 가운데서 가장 고도한 수행법입니다. 가장 고도한 수행법을 단 몇시간 동안에 윤곽을 잡을려고 하면
사실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들어 두셨다 나중에 가시면 감(感)이 잡히실 것입니다. 이 마하지관(摩訶止觀)은 위대한 지관법으로 그칠 지(止)자,
산란한 마음을 딱 그치어 마음을 고요히 한다는 말이고, 볼 관(觀)자, 이것은 비추어 보는 것입니다. 무엇을 비추어 보는가? 우리 본성(本性),
무명에 가리여 지금은 바로 못 보나 부처님 말씀에 따라서 비추어 보는 것입니다.
불성(佛性)은 불생불멸(不生不滅), 낳지 않고 죽지 않고 영생하며 또 불성 가운데는 물질적인 질료는 아무것도 없고 시간성, 공간성을
초월해 있습니다. 그리고 일체 존재의 모든 가능성을 갖춘 하나의 광명(光明)입니다. 이렇게 부처님께서 말씀을 했으니 우리 중생이야 염두도 못
내지만 부처님 말씀 다라서 확신해서 비춰 봅니다.
현대는 물리학적인 지식을 동원시키면 어느정도 납득이 갑니다. 항시 학교에서 배운 물리학적인 지식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확실히
물리학과 수학은 철학을 할 때도 굉장히 필요합니다. 저는 원래 수학을 많이 못해서 철학 서적을 보면 막혀서 이따금 답답할 때가 있습니다. 확실히
물리학적인 소양은 지금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굉장히 필요합니다.
현대는 이론과 실헌 과학의 체계 위에 서 있기 때문에 물리학을 모르면 아주 불편한 셈이지요. 지금 물리학도 일체 물질을
파괴하면 에너지라는 광명(光明)만이 남는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이른바 소립자(素粒子)의 파동설(波動說), 입자설(粒子說) 말입니다.
전자(電子)는 무엇인가? 극소화시키면 광자(光子), 즉 광입자 아닙니까. 전자라는 아주 미세한 알맹이를 극소화 시키면 결국은 하나의 광자입니다.
하나의 광명체(光明體)입니다. 우주에는 지금 이러한 광자가 충만해 있습니다. 물리학적으로 볼 때도 말입니다.
물질을 분석하고 분석하면 저 저변에는 파동, 빛입니다. 지금 우주 공간에는 빈틈도 없이 광자로 충만해 있습니다. 광입자로 말입니다.
저 성층권 밖 무한한 우주 공간에도 일체의 장 에너지가 충만해 있습니다.
그와 같이 생각할 때 정말로 부처님께서 우주가 불성 뿐이다. 부처님 뿐이다. 하신 말씀도 물리학으로 비추어 본다 하더라도 거짓말이
아니구나! 이렇게 지금 현대인들은 알 수가 있습니다. 근원적인 것은 하나의 생명의 성역으로 돌아가는 것인데, 마하지관은 우리 산란스러운 마음,
좋다, 궂다 하는 마음, 모두 그런 것들이 허망한 것들이므로 허망한 것을 우리가 부정 안해 버리면 참다운 것이 그때는 못나옵니다.
그러니까 부처님 경전 가운데서 양적으로 가장 비중이 많은 것이 공사상(空思想), 제법공(諸法空)입니다. 이른바 금강경 도리를
22년간이나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또 말씀하시고 또 말씀하셨습니다. 사람도 허망하고, 꿈이요, 허깨비요. 몇 번 들으면 듣기가 싫겠지만
중생들이 잘 알아듣지 못하니까. 그 당시에 무슨 원소 이론이 있을 리가 만무하지 않습니까.
이 몸뚱이는 이와 같이 고유하게 그대로 있다고 생각한단 말입니다. 한 순간도 일초의 몇만분지 일초도 이 몸뚱이는 그대로 있지가
않지만 그것을 모르고 고유하게 있다고 보는 때라 놔서 좀처럼 중생들이 몸은 허깨비같다, 꿈같다 해도 못 알아먹는단 말입니다. 그러므로 그와 같이
우리 중생들이 보고 있는 현상계가 허망하고 메아리고 그림자고 한다는 것을 22년간 고구정녕으로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하시고 육조단경(六組檀經)에도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이라. 본래 한 물건도 없다고 했습니다. 천지 우주가 물질로 꽉 차
있는데 본래 한 물건도 없다고 한단 말입니다. 어째서 없는 것인가? 이것도 역시 물리학을 좀 하신 분들은 그냥 생각이 되십니다. 물질은 에너지의
파동 뿐인 것이지 물질이 아닌 질료가 없는, 다시 말하면 공간성도 없는 에너지의 진동, 즉 파동이 그렇게 물질로 보이는 것입니다.
어젠가도 말씀 했습니다만 우리가 횃불을 이렇게 빙빙 돌리면 불 동그라미가 생깁니다. 그러나 불 동그라미가 실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시각의 잔상에 의한 착각 때문에 그와 같이 불 동그라미가 있어 보인단 말입니다.
세포들이 합해져서 모여 있으니까 이와 같이 사람 몸뚱이로 보이는 것이지, 세포도 역시 보다 미세한 것들에 의한 불 동그라미 같은
모양만, 파동만 있는 것이지 실재로 공간성이 없단 말입니다.
가장 미세한 원자를 생각해 놓고 보십시오. 원자도 원자핵을 중심으로 주위에 전자들이 돌고 있습니다. 어떠한 존재나 모두가 다 원자로
안 된 것이 없는데 우리가 분석해 놓고 보면 원자 그것이 핵을 중심으로 해서 전자들이 돌고 있습니다. 전자가 몇 개나 도는가에 따라서 산소,
수소, 질소요 하는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원자핵을 전자 하나가 돌면 그것이 수소(水素)입니다. 그런데 그 원자핵과 그 주위를 도느 전자와의 사이는 텅 비어 있습니다.
원자핵와 전자 사이가 태양과 지구와의 사이, 태양과 지구 사이는 텅텅 비어 있습니다. 그런데 태양과 지구 사이의 빈 공간의 비율보다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공간의 비율이 더 큽니다. 태양과 지구와도 이렇게 텅텅 비어 있는데 모든 물질의 근원이 되어 있는 원자 속이 텅텅 비어 있단
말입니다.
또 다른 원자와 다른 원자 사이도 텅텅 비어 있습니다. 그런 비어 있는 것들이 모여서 우리 몸도 구성하고 물질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우리 몸을 가리켜서 공취(空聚)라! 빌 공자, 모를 취자입니다. 하여튼 부처님 말씀은 그야말로 한없이 감사합니다. 공취라, 텅 빈
하나의 공 무더기란 말입니다. 텅 빈 공이 모여서 우리 세포가 되었습니다. 근본 원자가 비었거니, 앞서 말씀드린 원자핵은 무엇인가? 핵도 내내야
에너지가 진동해서 돌고 있는 파동에 불과합니다. 전자 역시 에너지의 파동에 불과합니다. 모두가 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이 물질화(物質化) 되서 물질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 뿌리에서 보면 에너지뿐입니다. 근본 본질에서 볼 때는
중생이 되고 무엇이 되고 했다 하더라도 본 바탕에서 보면 모두가 부처 뿐입니다.
중생들이 텅 빈 것인데 그 몸뚱아리가 텅 빈 줄을
모르니까 그와같이 22년 동안이나 부처님껫 반야(般若) 공사상을 설하셨습니다. 금강경에서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이 없다고 하는, 상(相)은 결국 현상(現象) 아닙니까. 잘나다 못나다 내가 있고 네가 있고 개도 소도 있고 그런 것이 상인데,
상이 없다는 것을 쳐부수기 위해서, 상이 없으면 불(佛)이요 도(道)요 성자(聖者)요 부처님이 되는 것입니다. 상이 있으면 범부(凡夫)고
중생(衆生)입니다. 그렇게 구분은 간단 명료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관조(觀照)할 때는, 비춰 보는 것은 무엇을 비추어 보는가 하면, 초기에는 사람들이 아직 미숙한 때라 태양도
보라하고, 서산(西山)에 뉘엿뉘엿 지는 황혼도 보라하고, 이렇게 아주 영롱한 물도 보라하고, 영롱한 물을 자주 보면 혼탁한 마음이 그 인연
따라서 맑아 옵니다. 서산에 넘어가는 석양 그 장엄스러운 태양을 자주 보면 마음이 텅 비어 오는 것입니다. 그렇게 상대적인 것에 인연을 짓게해서
그걸로 해서 우리 마음을 관조해서 통일 시키는 법을 처음에는 썼습니다. 초기 불경에도 그러한 법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올라가면 법당에
있는 거룩하신 부처님을 애쓰고 본단 말입니다. 마리아 상(像)을 보고, 부처님 상을 보고 그러면 우리 마음이 그만큼 모아집니다.
이렇게 형상(形象)으로 보고는 관조하는 법을 익히기도 했지만 형상은 허망한 것이고 참다운 실상(實相)은 모양이 없다. 가장
고도한 형상은 모양이 없는 순수한 생명입니다. 이렇게 순수한 생명을 이제 인정할 정도가 되면 그대는 이관(理觀)이라, 마음의 원리를 보게
만듭니다. 천지 우주는 불성 뿐입니다.
앞서 마하지관(摩訶止觀)은 마음을 고요히 하는 것은 지(止)고, 마음을 어떤 경계에다 놓고 비추어 보는 것은 관(觀)입니다. 가장
위대하기 때문에 마하지관이라 합니다. 따라서 그대는 에누리가 없이 불성 자리에 마음을 딱 붙여 버립니다. 그것이 천태지의선사가 부처님의
일대시교(一代時敎)를 다 모아서 한 체계로 묶어서 제일 지혜가 수승한 사람한테 제시한 가장 고도한 수행법입니다. 지금 사람들은 어려워서 잘
보려고 하지 않습니다. 마하지관 수행법하고 이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수행법하고는 비슷비슷합니다.
그 관계를 말씀드립니다만 제가 보는 견해로는 보리방편문이 훨신 더 우수한 것같습니다. 어째서 그런가 하면 마하지관은 마음을
공(空), 가(假), 중(中) 그렇게 봅니다. 공은 마음으로 보는 모든 것이 텅 비었다는 것입니다. 중생의 의식은 실존을 못봅니다. 물 자체를
못 봅니다. 못 보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것은 물 자체가 아니고 결국 모두가 사실이 아닌 가(假)란 말입니다.
모든 것이 다 비었다는 것이 공이고, 모두가 가상(假相)이라, 거짓 가(假)자 가입니다. 그러나 텅 비었다 하더라도 아무것도
없는 공이 아니라 무엇인가 알체 존재가 이루어지는 모든 가능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은 가운데 중(中)자 중입니다. 중(中) 이것은 공과 가를 다 포함해 있습니다. 공도 아니고 가도 아니고, 공도 아니고 색도
아니고, 그와 같이 다 통하기 때문에 중도(中道)입니다. 천태지관에서는 이렇게 봅니다. 지의선사의 마하지관법은 굉장히 난해한 법문입니다.
보리방편문은 마하지관과 약간 비슷합니다만, 그러나 천태지의선사의 공가중(空假中)은 불성을 논리화시켜서 보았기 때문에 생명적인
역동성(力動性)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은 생명(生命)을 화석(化石) 시키지 않고서 생명 그대로 공부하는 법이기 때문에
더 우수하다는 말씀을 할 수가 있습니다.
너무 전제(前提)가 길어졌습니다만 보리방편문의 체계를 말씀하겠습니다. 이 보리방편문의
구성을 보면 여기 마음 심(心)이 있지 않습니까. 마음이 바로 부처님임을 설파했습니다. 우리 불교의 대요가 심즉시불(心卽是佛)이라 해서 그렇게
간명하게 말씀이 됩니다. 그러기에 부처님 법문 가운데서 가장 고도한 법문이 대체로 심즉시불이라. 마음이 바로 부처라는 말씀을 다 합니다.
지금 이렇게 못나고 좁은 마음이 어떻게 부처일 것인가? 이렇게 회의(懷疑)를 품습니다만 이것은 우리 마음의 표면이 불과하고, 우리가
쓰는 나요, 너요, 좋다, 궂다 하는 그 마음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우리 마음의 저변은 무한대로 우주를 감싸 있습니다. 김(金)가 마음도
천지우주(天地宇宙)를 감싸안고, 박(朴)가 마음도 역시 천지우주를 다 감사 있습니다. 이것은 시공(時空)을 초월(超越) 무장무애(無障無?)한
마음, 즉 영체(靈體)라 놔서 그때는 중복(重複)이 돼도 하등의 장애가 없습니다. 무장무애라! 박가 마음, 김가 마음 모두가 똑같이 천지우주를
다 감싸 있습니다. 그런데 범부들은 마음을 빙산의 일각 모양으로 겉에 뜬 표면의식(表面意識)만 사용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이 놈의 몸뚱이에 꽉
가려서 이 몸뚱이의 한계(限界)밖에는 못 사용합니다.
그러나 부처님 법문은 그 몸뚱이에 갇혀 있는 마음을 잘 느끼고 다스려야 합니다. 마음이 아(我)라는 것에 갇혀 있는데 이
마음을 해방시켜서 본래 마음 자리로 환원을 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이 불교(佛敎)입니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그런 마음이라 할망정, 이것은 부처가 다 된 마음이 아니라 하더라도,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이
마음! 이 마음이 결국은 알고 보면 그때는 바로 부처입니다. 이 마음 바로!
마하지관(摩訶止觀)의 책도 보고, 천태학(天台學)도 보고 논쟁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논쟁을 나중에 안하기 위해서 제가 말씀을
드립니다. 그 심즉시불(心卽是佛)하면 보통 심(心)이 아니라 도인(道人)의 심을 말하는 것이다. 또는 어느 분은 도인의 그런 마음이 아니라 우리
중생심(衆生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음이 바로 부처라는 심즉시불의 논쟁입니다. 도인(道人)의 마음이 바로 부처이지 어째서 중생
마음이 부처일 것인가? 이렇게 주장한 분도 있고, 중생 마음의 본 바탕이 결국 부처이기 때문에 중생 마음 그대로 부처라 해도 조금도 오류가
없다. 이렇게 주장하는 분도 있습니다. 그렇게 두 파가 생겨서 굉장히 싸움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중생마음이 부처라는 논법이
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