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이 생겨나는 이치
수행의 원리를 깨치려면 우선 질병이 생겨나는 이치를 알아야 합니다. 사람의 질병이란 내상(內傷)과 외감(外感)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니, 병이란 내상과 외감으로 총괄할 수 있습니다. 이 요체만 알면 병의 대세를 안다고 합니다. 의가에서는 무엇보다 인체에서의 화(火)1)라는 글자가 뜻하는 바를 잘 알아야 한다고 전합니다. 『황제내경』에는 장화(壯火) 소화(少火)의 이름으로 되어있으며, 후대에는 천화(天火) 인화(人火) 군화(君火) 상화(相火) 용화(龍火) 뇌화(雷火) 등 여러 가지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후 주단계(朱丹溪)라는 명의에 의해서 허화(虛火)와 실화(實火)로 크게 나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실화(實火)라 하면 풍한서습조화(風寒暑濕燥火)와 음식으로 손상되어 병이 외부로부터 들어온 것을 말하는 것이고[외감], 허화(虛火)라는 것은 희노애락애오욕의 칠정과 색욕(色慾), 그리고 노역(勞役)으로 인하여 신(神)을 손상하여 병이 안에서 발생하게 된 것을 말합니다[내상]. 이상의 화(火)의 발생이 병을 초래하고 나중에는 수(水)의 부족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성리학에서 사람의 마음 심(心)이라는 글자는 화(火)에서 왔다고 하는데, 이는 아주 적절한 가르침이라고 봅니다. 인체를 수토(水土)로 보면 인체의 화신(火神)이 심(心)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 화(火) 자를 옆으로 뉘면 심(心) 자가 된다고도 하였습니다. 후에 김일부 대성사님에 의하여 이 심(心) 자의 세 점은 정·기·신을 상징한다고 하여 더욱 자세한 가르침을 드러낸 바 있습니다. 생명을 보존하는 네 가지 요체 옛 의가에서는 생명을 보존하는 네 가지 요체를 전하기도 하였습니다. 첫째는 절음식(節飮食)입니다. 음식을 절도 있게 섭취하지 못하면 질병이 야기되고 외사가 침입합니다. 술로 방탕하게 보내면 그 화는 더욱 커집니다. 허약한 몸은 오로지 비위(脾胃)에 의존하므로 기름진 음식을 즐기지 말고 담담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최고로 삼습니다. 그리고 소식을 중요시 합니다.
노영균 (대전 정화파동 한의원)
| | 극락정토로 가는 길 (白道) http://blog.daum.net/mjpark39/164047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