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처님 인연 ♣/•------육조단경♤ 40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21. 西方 - 서방극락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21. 西方 - 서방극락 위사군이 예배하고 또 물었다. "제자가 보오니 스님과 도교인과 속인들이 항상 아미타불을 생각하면서 서쪽 나라(西方)에 가서 나기를 바랍니다. 청컨대 큰스님께서는 말씀해 주십시오. 저기에 날 수가 있습니까? 바라건대 의심을 풀..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20. 功德 - 공덕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20. 功德 - 공덕 위사군이 예배하고 스스로 말하였다. "큰스님께서 법을 설하심은 실로 부사의 합니다. 제자가 일찍이 조금한 의심이 있어서 큰스님께 여쭙고자 하오니, 바라건대 큰스님께서는 대자대비로 제자를 위하여 말씀하여 주소서." 육조대사께서 말씀하셨다. "..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9. 滅罪 - 죄를 없앰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9. 滅罪 - 죄를 없앰 "선지식들아, 뒷세상에 나의 법을 얻는 이는 항상 나의 법신이 너희의 좌우를 떠나지 않음을 보리라. 선지식들아, 이 돈교(頓敎)의 법문을 가지고 같이 보고 같이 행하여(同見同行) 소원을 세워 받아 지니되 부처님 섬기듯이 함으로써, 종신토록 받..

공(空)의 성품을 보고 깨달았다고 하는 깨달음 이와 같이 다르다

공(空)의 성품을 보고 깨달았다고 하는 깨달음 이와 같이 다르다 공(空)의 성품을 보고 깨달았다고 하는 깨달음 이와 같이 다르다 / 칠통 조규일 우리들 저마다 본래 성불에서 본래 무명에 이르러 윤회의 굴레에 떨어지기 전, 우리들 저마다 진아(眞我)를 여의고 가아(假我)를 나라고 생각을 뒤바꾸었을..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8. 단박에 깨침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8. 단박에 깨침 "선지식들아, 나는 오조 홍인(弘忍)화상의 회하에서 한 번 듣자 말끝(言下)에 크게 깨쳐 진여(眞如)의 본래 성품을 단박에 보았느니라(頓見眞如本性). 이러므로 이 가르침의 법을 뒷세상에 유행시켜 도를 배우는 이로 하여금 보리(菩提)를 ..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7. 見性 - 견성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7. 見性 - 견성 "모든 경서(經書) 및 문자와 소승(小乘)과 대승(大乘)과 십이부(十二部)의 경전이 다 사람으로 말미암아 있게 되었나니, 지혜의 성품에 연유한 까닭으로 능히 세운 것이니라. 만약 내가 없다면 지혜 있는 사람과 모든 만법이 본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6. 根機 - 근기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6. 根機 - 근기 "선지식들아, 만약 매우 깊은 법의 세계(法界)에 들고자 하고 반야삼매(般若三昧)에 들고자 하는 사람은 바르게 반야바라밀의 행을 닦을 것이며 오로지 <금강반야바라밀경> 한 권말 지니고 읽으면 곧 자성을 보아 반야삼매에 들어가느니라. 이 사람..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5. 般若 - 반야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5. 般若 - 반야 "어떤 것을 반야(般若)라고 하는가? 반야는 지혜이다. 모든 때에 있어서 생각마다 어리석지 않고 항상 지혜를 행하는 것을 곧 반야행(般若行)이라고 하느니라. 한 생각이 어리석으면 곧 반야가 끊기고 한 생각이 지혜로우면 곧 반야가 나거..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4. 性空 - 성품이 빔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4. 性空 - 성품이 빔 "지금 이미 삼보에게 스스로 귀의하여 모두들 지극한 마음들일 것이니 선지식들을 위하여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리라. 선지식들아, 비록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생각은 하나 알지 못하므로 혜능이 설명하여 주리니, 각각 잘 들어라. 마하반야바라..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 13. 三歸 - 세 가지 귀의

[육조단경 돈황본] 퇴옹성철 편역 13. 三歸 - 세 가지 귀의 "지금 이미 참회하기를 마쳤으니 선지식들을 위하여 '무상삼귀의계(無相三歸依戒)'를 주리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깨달음의 양족존(覺兩足尊)께 귀의하오며, 바름의 이욕존(正離欲尊)께 귀의하오며, 깨끗함의 중중존(淨衆中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