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처님 인연 ♣/•극락정토로 가는 길♤

수련원리, 효과

白道 박만주 2011. 3. 3. 10:13

 

 

 

 

  

 

 

 

축기란


기수련의 목적은 기맥을 열어 기운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있다. 기공체조와 스트레칭 그리고 침, 뜸, 부항등의 한의학적 시술들은 외부에서 기맥을 자극하여 기운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그 효과가 일시적이므로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건강을 얻을 수 있다.
인체내부에서 기맥을 열기 위해서는 기운을 대맥에 저장한 후 그 기운의 힘으로 기맥을 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운을 모아야 하고 그 과정을 축기 과정이라고 한다.

 

 

축기 기간


기존의 기수련을 보면 오랜 시간 수련하고도 축기량은 상당히 미약하였다. 따라서 기운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 금기 사항들을 강조하였고 수련의 진척은 거의 없었다. 기코리아 풍류선법은 하루 40분 이상 수련을 하면 약 3개월 정도 지난 후에는 운기 수련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짧은 시간 안에 축기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함축적인 행공과 기운을 농축시기는 과정이 과학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수련 진척도


축기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세 가지로 판별할 수 있다.
첫째는 호흡의 변화이다. 수련초기는 대부분 임맥이 막혀 있어서 한 동작을 하여도 호흡이 매우 거칠고 연결동작이 부드럽지가 못하다. 이는 기존 수련을 십 년 이상한 경우에도 여지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수련이 진행되면서 7일을 주기로 호흡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임맥이 열리고 대맥이 부풀어 단전이 조성되면서 호흡은 매우 부드러워 진다.


둘째, 대맥이 부풀어서 태극을 펼쳐놓은 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수련이 시작되면서 임맥이 열리고 임맥을 따라 대맥으로 기운이 들어가면서 아랫배가 빵빵하게 부풀어오른다. 선음을 통해서 기운이 농축되면서 빵빵한 대맥은 탄력이 생기고 좌우로 갈라지게 된다.
셋째, 단음이 형성된다. 임맥이 어느 정도 열리는 시기가 되면 선음 수련이 시작된다. 초창기에는 목을 많이 쓰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임맥이 열리고 대맥이 자리잡으면서 고음인 아랫배 소리가 난다. 수련이 진척되면서 기운이 농축되어 기운의 파동에 의해서 떨림이 강한 단음이 울려 퍼지게 된다.

 

 

 

운기란

운기과정은 단전에 조성된 기운을 운행하여 기맥을 열어주는 과정이다. 기존 수련에서는 의념으로 기운을 돌렸지만 이것은 허기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기코리아 풍류선법은 진기를 모으고 물리적인 방법으로 운기를 한다.
현통4맥을 완전히 소통시켜 소주천에 이르는 과정이다. 소주천이 이루어지면 더욱 기맥을 넓혀 기경8맥과 정경12맥이 완전히 소통되어 건강한 육체와 고급수련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룬다.

 

 

운기기간


소주천 과정은 음의 파동을 이용하여 현통사맥을 뚫는 과정으로 이수통문과 음양쌍음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세분화되어 15주 과정으로 되어있다. 정상적으로 수련시간을 준수하고 수련을 하게 되면 나이나 체질적인 부분에 따라서 조금 차이는 있는데 보통 5주안에 소주천이 이루어진다.
수련을 반복하면서 기맥을 더욱 넓게 열어주어 쉽게 막히지 않는 단계(온양)에 이루면 대주천 과정에 들어간다. 대주천 과정은 기경8맥과 정경12맥 모두 뚫어 주는 과정으로 15주로 되어있다. 대주천이 되어서 15주 과정을 이수하면 수련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이때부터는 본격적으로 마음수련을 할 수가 있으며 적은 시간을 투자해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수련 진척도


옥침혈이 열리며 소주천이 되는 과정에서 그동안 꽉 막혀 있던 머리의 기혈들에 자극이 오면서 일정기간(1일~7일) 통증이 오다가 소주천이 된다. 소주천을 이루면 호흡이 매우 부드러워지며 힘들던 수련이 급격히 쉬어진다. 소주천이 되면 초월의식을 느끼고 마음이 차분해지고 이마 주위로 기감이 형성되는데 이를 선환이라 한다.
대주천 단계에 이르면 미세 기혈이 열림에 따라 둥그런 원모양의 기파가 머리에 감돌게 되고 점점 구형으로 확장되게 된다. 대주천에 이르면 완전 건강체가 되고 더욱 초월의식이 강해져 본격적으로 마음수련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과정
도법체계
기간
조식법
축기과정
축기
단공10계
본격적인 축기수련이 들어가기전 기맥을 자극하고 몸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건강체조이다.
1주
도인체조
1주
1계(평읍법)
호흡, 수인, 행공등 기본자세를 익히며 숙달시키는 과정이다.
2주
2계(정읍법)
대맥에 기가 쌓임에 따라 대맥이 팽창되기 시작하고 발성을 통해 기운을 더욱 농축시켜 단전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
3주
3계(소읍법)
앞으로 팽창되었던 단전이 치골을 중심으로 좌우로 갈라지기 시작하고 단음(쇳소리)이 형성되며 정례읍을 통해 지기를 흡입한다.
5주
4계(대읍법)
기운이 강하게 농축되어 단음의 질적 향상과 육안으로 식별 가능 할 정도로 뚜렷이 단전의 틀이 잡혀지며 풍류공으로 기맥을 강하게 열어주어 소주천을 준비한다.
5주
좌식풍류공
운기과정
소주천
이수통문 정좌
그동안에 대맥에 농축시킨 기운을 물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현통사맥을 완전히 소통시켜 소주천에 이르는 과정이다. 과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소주천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없다. 소주천에 이르면 초월의식과 머리에 선환이 잡히게 된다.
15주
이수통문 동좌
음양쌍음 기본음
음양쌍음 부분회전음
음양쌍음 완전회전음
수기공명
수기공명 풍류공
온양
입식풍류공
기맥을 더욱 넓혀 안정시키고 하체로 기운을 내리기 시작하며 대주천을 준비한다.
15주
금강태좌1식
금강태좌2식
금강태좌3식
금강태좌4식
대주천채약
태읍법 1단계
더욱 기맥을 넓혀 기경 8맥과 정경12맥이 완전히 소통되어 건강한 육체와 본격적인 마음수련을 할수 있는 단계에 이른다.
태읍법 2단계
삼계성문 기본음
삼계성문 회전음
                                             

                                                                                    

 

           

           극락정토로 가는 길 (白道)

           http://blog.daum.net/mjpark39/16404758